데이토나 USA는 1994년 세가에서 출시한 아케이드 레이싱 게임이다. 플레이어는 스톡 카를 운전하며 3개의 코스 중 하나를 선택하여 경쟁 차량을 앞지르고 제한 시간 내에 레이스를 완료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적응형 난이도 시스템과 포스 피드백 스티어링 휠, H형 기어 시프터 등을 특징으로 하며, 최대 8명이 동시에 대전할 수 있는 멀티플레이어 기능을 제공한다. 세가 새턴, 드림캐스트, 플레이스테이션 3, Xbox 360 등으로 이식되었으며, HD 리메이크 버전도 출시되었다. 이 게임은 아케이드에서 큰 인기를 얻었으며, 긍정적인 평가와 함께 아케이드 레이싱 게임의 유산으로 남아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1993년 비디오 게임 - 사이보그 009 《사이보그 009》는 이시노모리 쇼타로가 그린, 9명의 사이보그 전사들이 활약하는 만화로, 냉전 시대를 배경으로 반전 메시지와 다양한 주제를 담고 있으며, 2001년 애니메이션 방영을 통해 한국에서도 인기를 얻었다.
1993년 비디오 게임 - 로맨싱 사가 2 《로맨싱 사가 2》는 스퀘어에서 발매한 슈퍼 패미컴용 롤플레잉 게임으로, 아발론의 황제가 되어 제국을 운영하며 칠영웅에 맞서는 스토리와 "황제 계승 시스템"을 통해 제국을 발전시키고 다양한 동료를 모아 전투를 치르는 높은 자유도를 특징으로 한다.
드림캐스트 게임 - 마리의 아틀리에: 잘부르그의 연금술사 마리의 아틀리에: 잘부르그의 연금술사는 1997년 발매된 플레이스테이션 게임이자 연금술을 소재로 한 아틀리에 시리즈의 첫 작품으로, 연금술 학교 학생 마를로네가 졸업 시험을 통과하기 위해 연금술을 배우고 재료를 채집하며 아이템을 제작하는 과정을 그리고 있으며 턴제 전투, 다양한 엔딩, 아틀리에 운영 등의 요소를 포함하고 2023년에는 HD 리메이크 버전이 출시되었다.
드림캐스트 게임 - 센티멘탈 그래피티 아버지의 직장 때문에 이사를 자주 다니며 여러 소녀들과 인연을 맺은 고등학생이 정체불명의 편지를 받고 발신인을 찾아 전국을 여행하는 어드벤처 게임인 《센티멘탈 그래피티》는 플레이어가 소녀들과 관계를 발전시키며 호감도와 애절함 수치를 조절하여 다양한 엔딩을 맞이하는 미디어믹스 작품이다.
1994년 비디오 게임 - 사이보그 009 《사이보그 009》는 이시노모리 쇼타로가 그린, 9명의 사이보그 전사들이 활약하는 만화로, 냉전 시대를 배경으로 반전 메시지와 다양한 주제를 담고 있으며, 2001년 애니메이션 방영을 통해 한국에서도 인기를 얻었다.
1994년 비디오 게임 - 라이브 어 라이브 라이브 어 라이브는 1994년 슈퍼 패미컴으로 출시된 스퀘어의 롤플레잉 비디오 게임이며, 9개의 시나리오와 8명의 주인공을 통해 독특한 게임플레이와 턴제 전략 전투 시스템을 제공하고, 2022년에는 HD-2D 그래픽 스타일로 리메이크되었다.
일본: 1996년 9월 27일 (Enhanced Board 버전) 유럽: 1996년 11월 14일 북미: 1996년 11월 6일 일본: 1996년 12월 6일
플레이스테이션 3
북미: 2011년 10월 25일 일본: 2011년 10월 26일 유럽: 2011년 11월 23일
엑스박스 360
전 세계: 2011년 10월 26일
사운드
사운드 칩
야마하 YMW258-F (세가 MultiPCM)
2. 게임 진행
초급 코스를 주행하는 플레이어 (아케이드 버전)
플레이어는 '호넷(Hornet)'이라는 이름의 스톡 카를 운전하며,[9] 게임 시작 시 초급, 중급, 고급의 세 가지 코스 중 하나를 선택하고 수동변속기(MT) 또는 자동변속기(AT) 중 하나를 고른다.[98][2] 목표는 자신을 제외한 최대 39대의 경쟁 차량보다 앞서[2][3] 제한 시간 안에 레이스를 완주하는 것이며, 코스 내 체크포인트를 통과하면 시간이 추가된다.[98]
게임에는 플레이어 실력에 맞춰 난이도를 조절하는 적응형 난이도 시스템이 적용되어 있다. 첫 랩에서 플레이어 실력을 측정해 컴퓨터가 제어하는 상대 차량의 난이도를 조정하는데, 초보 플레이어에게는 상대가 길을 비켜주지만 숙련된 플레이어는 상대의 적극적인 방해를 받는다.[9][16] 물리 엔진은 드리프트나 파워 슬라이딩 같은 현실적인 운전 기술을 구현하며,[9] 아케이드 캐비닛의 스티어링 휠은 포스 피드백 기능으로 충돌 시 충격을 전달한다.[2] 기어는 H 패턴 시프터로 변속한다.[4]
데토나 USA 트윈 캐비닛
게임 시점은 네 가지 중 선택 가능하며, 차량 뒤를 보는 기능도 제공한다.[6][7] 아케이드 버전은 멀티플레이어를 지원하여, 트윈 캐비닛 4대 또는 디럭스 캐비닛 8대를 연결해 최대 8명까지 동시 경쟁이 가능하다. 일부 디럭스 캐비닛에는 운전석을 비추는 카메라가 설치되어 폐쇄 회로 텔레비전을 통해 다른 화면에 플레이어 모습을 보여주기도 한다.[9] 멀티플레이에서는 선두 주자만 시간 내 체크포인트를 통과하면 모든 플레이어의 시간이 연장되며,[8] 러버밴딩 시스템으로 모든 플레이어가 경쟁에 참여하도록 돕는다.[2]
아케이드 버전은 세가의 모델 2 기판으로 제작된 첫 게임으로[99], 당시 드물었던 텍스처 매핑 기술을 활용한 폴리곤 그래픽을 선보였다. 초당 최대 30만 개의 폴리곤 처리 능력은[18] 이전 모델 1 기판의 거의 두 배였으며,[5]텍스처 필터링으로 화면을 부드럽게 처리하고[9] 초당 60프레임의 움직임을 구현했다[99].
가정용 이식 버전은 일부 차이가 있다. 세가 새턴 버전은 멀티플레이를 지원하지 않지만,[79] 시간 제한 없이 플레이하거나 선택 가능한 차량을 늘리는 '새턴 모드'가 추가되었다.[51] 또한 피트 스탑이 필요한 '엔듀런스' 및 '그랑프리' 모드에서는 차량 손상이 성능에 영향을 미친다.[52] 이후 출시된 플레이스테이션 3 및 Xbox 360 버전에는 최대 8명 온라인 멀티플레이 기능이 추가되었다.[49]
게임 제목 '데이토나 USA'는 데이토나 인터내셔널 스피드웨이 운영사인 ISC(International Speedway Corporation)가 저작권을 허가한 이름으로, 실제 데이토나 비치의 데이토나 USA 박물관 개장 몇 년 전에 게임이 출시되었음에도 사용되었다.
2. 1. 코스
(로드 중 VR4 버튼(아케이드)/X버튼(새턴)을 누르면 Pounding Pavement 재생)
초급 코스 '쓰리 세븐 스피드웨이'는 전형적인 3축 타원형 스피드웨이 트랙으로, 외관은 데이토나 인터내셔널 스피드웨이와 포코노 레이스웨이에서 영감을 받았다. 플레이어는 40대의 차량 중 가장 마지막 위치에서 롤링 스타트 방식으로 출발한다. 출발 지점 왼쪽에는 피트 스탑이 있고 오른쪽에는 관중석이 있다. 트랙을 따라가면 숲 속 직선 주로가 나오며, 돌로 된 구름다리 위에는 거대한 슬롯 머신 세 개가 설치되어 있다. 경기 중 슬롯 머신 근처에서 스타트 버튼(새턴판은 X버튼)을 누르면 릴이 멈추는데, 세 번 눌러 세 개의 릴 그림을 맞추면 추가 시간을 얻을 수 있다(777은 7초, BAR-BAR-BAR는 5초, 그 외는 3초 추가). 한 바퀴를 돌기 직전에는 코스에서 가장 굴곡이 심한 '소닉 커브'가 나타나며, 이곳 암벽에는 소닉 더 헤지호그의 모습이 새겨져 있다. 이 커브를 통과하면 출발 지점으로 돌아온다. 주요 라이벌 차량으로는 20번(MISS Tea), 46번(Bird Line), 53번(OK Bike Works), 55번(Evangeline Motor Oil), 62번(Gladner Insurance) 등이 있다. 1993년 초기 버전에서는 20번 차량이 매우 빨랐으나, 1994년 판에서는 성능이 조정되었다. 데이토나 USA 2001 설명서에는 이 코스의 배경이 '라스 세가스'(Las Segas)라고 언급된다.
'''다이노소어 캐니언'''
항목
내용
코스 유형
로드 코스(Road course)
난이도
중급(Advanced)
주행 횟수
4랩 (스탠다드) / 10랩 (그랑프리) / 40랩 (인듀런스 모드)
출전 차량 수
20대
BGM
Lets Go Away'
중급 코스 '다이노소어 캐니언'은 중간 길이의 로드 코스이다. 스탠딩 스타트 방식으로 출발하며, 계곡의 험준하고 고저차가 큰 지형을 달린다. 산을 통과하는 터널을 지나면 언덕 위에 풍력 터빈이 늘어선 풍경이 보인다. 마지막에서 두 번째 커브 가장자리 풀밭에는 "SEGA-AM2" 로고가 새겨져 있다. 마지막 커브는 난이도가 높으며, 커브 건너편 암벽에 거대한 공룡화석(아파토사우루스의 꼬리 화석[103])이 있어 코스 이름의 유래가 되었다. 라이벌 차량은 초급 코스보다 상대적으로 쉬운 편이며, 12번, 13번, 그리고 초급에서도 등장했던 20번(MISS Insurance) 차량을 주의해야 한다. 피트 방향으로 역주행하면 나오는 터널 안에는 '축하합니다. 당신은 방금 스폰서를 잃었습니다'라는 영어 메시지가 적힌 간판이 있다.
'''시사이드 스트리트 갤럭시'''
항목
내용
코스 유형
스트리트 서킷(Street circuit)
난이도
상급(Expert)
주행 횟수
2랩 (스탠다드) / 5랩 (그랑프리) / 20랩 (인듀런스 모드)
출전 차량 수
30대
BGM
'Sky High'
상급 코스 '시사이드 스트리트 갤럭시'는 해안 대도시의 테크니컬한 시가지 서킷이다. 거대한 현수교(스타라이트 브릿지) 앞에서 출발하여 다리를 건넌 뒤, 굴곡이 심한 터널 여러 개를 통과하고 주거 지역이 있는 언덕(카시오페아 시티)을 지난다. 이후 갈매기가 날고 말이 서 있는 절벽 지대를 따라 완만한 곡선을 그리며 달리는데, 바다가 코스 건너편으로 펼쳐진다. 출발했던 다리 밑을 통과하고 발사 준비 중인 스페이스 셔틀 옆을 지나친다. 게임에서 가장 급격한 헤어핀 커브 구간 옆에는 갈레온선 한 척이 부두에 정박해 있다. 이 구간을 지나면 처음 출발했던 다리로 돌아가는 진입로가 나오며 결승선을 통과한다.
코스 초반 터널을 지나 주거 지역이 나타나기 전 왼쪽에서 제프리 동상을 볼 수 있다. 동상 옆에 멈춰서 X버튼(새턴) 또는 스타트(아케이드)를 누르면 제프리 동상이 움직이다가 거꾸로 뒤집히는 숨겨진 요소가 있다 (데이토나 USA 2001에서는 삭제됨). 상급 코스에는 게임 내에서 가장 까다로운 상대 차량들이 등장하며, 특히 55번(Evangeline Motor Oil)은 가장 어려운 상대로 꼽힌다. 그 외에도 51번, 62번, 16번 차량이 주요 라이벌이다.
3. 개발
1992년 9월, 세가는 새로운 아케이드 시스템 기판인 모델 2를 제작하기 위해 GE 에어로스페이스와 제휴했다. 이는 GE의 밥 히치본이 1990년 GE의 데이토나 비치, 플로리다 본부와 같은 해 11월 세가의 도쿄 본부에서 세가 임원들을 만나면서 콜드 콜 방식으로 연결된 결과였다. 두 번째 회의에서 GE 에어로스페이스 임원들은 데이토나 인터내셔널 스피드웨이를 시뮬레이션하는 하드웨어의 3D 그래픽 시연 테이프를 선보였다. GE는 모델 2의 그래픽 기술 판매를 통해 세가의 아케이드 하드웨어 개발 기간을 14개월 단축시켰다고 추정했다.[9][19]
세가의 지역 사무소 책임자들은 모델 2 기판의 성능을 보여줄 게임 아이디어를 논의하기 시작했다. 세가의 이전 기판인 모델 1은 1992년 일본과 유럽에서 인기를 끈 ''버추어 레이싱''으로 데뷔한 바 있다. 세가의 미국 아케이드 부서인 세가 엔터프라이즈 USA의 사장 톰 페티는 NASCAR가 미국 시장에서 모델 2 게임의 매력적인 소재가 될 것이라고 제안했다. 세가 유럽의 빅 레슬리는 유럽에서는 포뮬러 원의 인기가 더 높다는 이유로 유보적인 입장을 보였으나, 세가 임원들은 결국 NASCAR 콘셉트를 승인했다. 페티와 세가 엔터프라이즈 USA의 재무 책임자 나카가와 마사히로는 데이토나 인터내셔널 스피드웨이에서 열리는 데이토나 500 경주를 기반으로 한 게임 개발을 위해 대표자들과 협상을 시작했다. 그러나 세가는 비용 절감을 위해 NASCAR와의 라이선스 계약은 진행하지 않기로 결정했고, 이로 인해 게임에는 실제 스폰서, 드라이버, 차량이 등장하지 않는다.[9]
감독이자 공동 프로듀서 나가요시 토시히로
세가는 ''데이토나 USA''가 당시 아케이드 시장을 선도하던 남코의 1993년 레이싱 게임 ''릿지 레이서''보다 뛰어나고 더 높은 판매량을 기록해야 한다는 목표를 세웠다.[9][10] ''릿지 레이서''는 1993년 말부터 1994년 초까지 아케이드 판매 차트 1위를 차지했으며,[11][12][13] 특히 ''버추어 레이싱''과 비교했을 때 뛰어난 그래픽으로 호평받았다.[13][14][15] 게임 개발은 ''행온'', ''아웃런'', ''버추어 레이싱'' 등 인기 레이싱 게임 개발을 이끌었던 유 스즈키가 총괄하는 개발 부서 세가 AM2에 맡겨졌다.[9] AM2의 감독 나가요시 토시히로가 프로젝트의 직접적인 책임을 맡았으며, 나가요시와 스즈키가 공동 프로듀서로 참여했다.[9][2] 이 게임은 나가요시가 감독을 맡은 첫 번째 프로젝트였다. 그는 기존 레이싱 아케이드 게임들과 차별화된 방향을 추구하고자 했다.[9][16] 모델 2 관련 회의차 미국에 방문했던 나가요시는 NASCAR 경기를 관람할 기회를 얻었고, 당시 일본에서는 생소했던 레이싱 스타일이 신선한 경험이었다고 회상했다.[2][16] 그는 자신의 게임을 ''릿지 레이서''의 시뮬레이션 레이싱 스타일에 대비되는 "펑키한 엔터테인먼트"로 만들기로 결정했다.[2]
AM2는 두 팀으로 나뉘어 한 팀은 ''데이토나 USA'' 개발에 집중하고, 다른 팀은 ''버추어 파이터''를 개발했다.[17] 프로젝트 연구를 위해 나가요시는 NASCAR 관련 서적을 읽고 비디오를 시청했지만, 일본 직원들에게 NASCAR 특유의 감성을 전달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게임 기획자 오사키 마코토는 스포츠카를 직접 구입하고 NASCAR 영화 ''폭풍의 질주''를 100번 이상 시청했다고 한다. 프로그래머 카타기리 다이치는 당시 아케이드 레이싱 게임의 열렬한 플레이어로서 자신의 경험을 개발에 반영했다.[2] 개발팀은 위성 이미지를 활용하고 직원을 파견하여 데이토나 인터내셔널 스피드웨이의 사진을 촬영했다.[9][18] 나가요시는 코너의 경사(뱅킹)를 직접 느껴보기 위해 트랙 한 바퀴를 걸어서 돌기도 했다.[9] 팀은 게임의 초급 코스로 데이토나 인터내셔널 스피드웨이와 브리스톨 모터 스피드웨이를 모두 검토했다. 나가요시에 따르면, ''데이토나 USA''는 시뮬레이션 게임이 아니었고 북미 외 일본과 유럽 시장도 고려해야 했기 때문에, 타원형 트랙이나 트라이-타원형 디자인은 너무 단조롭다고 판단하여 채택하지 않았다. 최종적으로 초급 서킷인 '쓰리 세븐 스피드웨이'는 마지막 코너에서 급격한 감속이 필요한 더 날카로운 트라이-타원형 레이아웃으로 디자인되었다.[2]
''버추어 레이싱''의 모델 1 하드웨어와 달리, 모델 2는 텍스처 매핑 기술을 지원하여 3D 그래픽에 표면 디테일을 표현할 수 있었다.[19] 이는 개발팀에게 새로운 기술이었기에 가장 효과적인 적용 방법을 찾기 위해 많은 시행착오를 거쳤다.[2] 스즈키는 세가 디자이너 제프리 부캐넌에게 연락하여 공룡 화석이나 클리퍼 범선 같은 흥미로운 오브젝트를 게임 내 다양한 장소에 배치할 것을 제안하기도 했다.[19] 카타기리에 따르면, 모델 2 하드웨어가 렌더링을 처리해주었기 때문에 별도의 렌더링 소프트웨어를 개발할 필요는 없었다. 카메라 제어 및 조명 효과 구현에는 ''버추어 레이싱'' 개발 경험이 활용되었다. ''데이토나 USA''는 드리프트 메커니즘을 포함하여 ''릿지 레이서''와 일부 유사한 특징을 공유한다. 나가요시는 실제 NASCAR 스톡카는 드리프트를 하지 않기 때문에 처음에는 이 요소를 배제하려 했으나, 게임의 방향을 시뮬레이션이 아닌 아케이드 스타일로 확정하면서 드리프트를 포함하기로 결정했다.[2] 그는 점술을 믿지는 않았지만, 주변 사람으로부터 숫자 41이 행운을 가져다줄 것이라는 조언을 듣고 플레이어 차량인 '호넷'에 41번을 부여했다.[9][16]
사운드트랙은 미츠요시 타케노부가 작곡했으며, 그는 당시 스톡카 레이싱에 대해 전혀 알지 못했다. 그는 ''릿지 레이서''의 테크노 사운드트랙과 차별화하기 위해 보컬을 포함하기로 결정했고, 가장 빠른 방법으로 자신의 목소리를 직접 녹음하여 사용했다.[2] 각 코스에는 고유한 테마곡이 있다.[10] 메인 테마인 "Let's Go Away"는 록과 펑크 악기를 혼합했으며,[20] "Sky High"는 미츠요시의 재즈 퓨전 배경을 반영했다. 숨겨진 트랙인 "Pounding Pavement"는 이글스의 "호텔 캘리포니아"에서 영감을 받았으며, 아케이드 버전에서 초급 트랙 선택 시 네 번째 시점 버튼을 누르고 있으면 들을 수 있다.[10] 아케이드 버전의 곡들은 샘플링 기법을 사용하여 제작되었다. 드럼과 미츠요시의 목소리를 포함한 사운드 샘플을 야마하 사운드 칩에 저장하고, 트랙 재생 및 반복 시점에 맞춰 재구성하는 방식으로 구현되었다.[2] 이는 모델 2 기판의 기술적 한계 속에서 보컬을 포함시키는 유일한 방법이었다.[9] 세가 새턴 버전에서는 음악이 리믹스되었다.[21]
4. 시리즈
스톡카 레이스를 모델로 한 3DCG 레이스 게임 시리즈이다. 타이틀의 "데이토나"는 스톡카 레이스의 성지인 데이토나 인터내셔널 스피드웨이가 위치한 미국 플로리다주 데이토나 비치에서 유래했지만, 게임 내 코스 디자인은 실제와는 다르다.
시리즈 첫 작품은 1994년4월에 아케이드 게임으로 등장했으며, 이후 다양한 콘솔 게임으로 이식되었다. 프로듀서는 세가의 나고시 토시히로이며, 3DCG 아케이드 기판인 Model2를 사용한 첫 번째 타이틀이다[99]. 당시로서는 획기적인 텍스처 매핑이 적용된 폴리곤 그래픽을 초당 60프레임으로 구현했으며[99], 버추어 레이싱에서 계승된 포스 피드백 스티어링 시스템을 채용했다. 미츠요시 타케노부가 부른 오프닝 테마곡과 호쾌한 게임성으로 인기를 끌었다.
1995년4월 1일에는 첫 이식작인 세가 새턴 버전이 발매되었다. 하드웨어 성능 차이로 그래픽 품질은 저하되었으나, 오리지널 요소가 추가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세가 새턴판 참조) 1996년12월 6일에는 세가 새턴판을 기반으로 한 Windows 버전이 출시되었다.[109] (자세한 내용은 #Windows판 참조)
1996년에는 세가 새턴으로 수정 및 확장판인 데이토나 USA: 챔피언십 서킷 에디션(Daytona USA: Championship Circuit Edition)이 출시되었다.[39] 이 버전은 세가의 소비자 소프트웨어 부서에서 개발했으며,[2] 세가 랠리 챔피언십에 사용된 게임 엔진의 수정 버전을 사용했다.[40] 그래픽 개선과 함께 통신 대전 모드 등이 추가되었고, 1997년11월 21일에는 Windows로도 이식되었다.
1998년7월에는 아케이드 전용 속편인 데이토나 USA 2: 배틀 온 더 엣지(Daytona USA 2: Battle on the Edge)가 세가 모델 3 하드웨어로 출시되었다.[44][99] 이 게임은 시리즈 중 유일하게 오리지널 게임의 코스나 음악을 사용하지 않았다.[2] 대형 캐비닛에는 충돌 시 진동과 충격을 전달하는 "크래시 임팩트 제네레이터"가 탑재되었고, 운전석 시점이 추가되었다.[112] 이론상 최대 16대까지 통신 대전이 가능했다.[111]
같은 해 12월에는 밸런스를 조정한 개량판 데이토나 USA 2: 파워 에디션(Daytona USA 2: Power Edition)이 가동되었다. 이 버전에서는 초대 호넷 차량인 "HORNET Classic"을 처음부터 선택할 수 있었고, 모든 코스를 연결해 달리는 "MIX 코스"가 추가되었다. 그래픽과 사운드에도 일부 변경이 있었다. 이 파워 에디션은 2023년 발매된 용과 같이 7 외전 이름을 지운 남자에서 미니 게임 'SEGA RACING CLASSIC 2'라는 이름으로 수록되어 가정용으로 처음 이식되었다.
2000년12월 21일에는 드림캐스트용으로 데이토나 USA 2001이 발매되었다. 이는 초대 데이토나 USA와 챔피언십 서킷 에디션의 리메이크 작품으로, 겐키가 개발을 담당했다. 그래픽 개선, 온라인 멀티플레이어, 새로운 코스 및 챔피언십 모드가 추가되었다.[45] (자세한 내용은 #데이토나 USA 2001 (드림캐스트) 참조)
2009년에는 일본 내 게임 센터에서 아케이드판 HD 리메이크인 SEGA RACING CLASSIC의 로케이션 테스트가 진행되었고, 2010년 구미 지역에서 정식 출시되었다.[119] 링와이드 기판을 사용했으며, 고화질 그래픽과 편곡된 사운드트랙을 특징으로 한다.[42] 당시 세가가 '데이토나' 상표권을 보유하지 않아 해당 명칭을 사용하지 못했다.[2][41][120]
2011년10월 26일에는 플레이스테이션 3와 엑스박스 360용으로 HD 리메이크 버전이 디지털 다운로드 방식으로 출시되었다.[103][49] 이 버전은 다시 데이토나 USA라는 이름으로 발매되었으며, 오리지널 아케이드 사운드트랙과 SEGA RACING CLASSIC의 편곡된 사운드트랙을 모두 포함하고, 8인 온라인 멀티플레이어, 챌린지, 가라오케 모드 등 새로운 기능이 추가되었다.[49] Xbox 360 버전은 이후 Xbox One 및 Xbox Series X/S에서 하위 호환을 지원하게 되었다.[43] (자세한 내용은 #데이토나 USA (PS3/Xbox 360) 참조)
2016년 말에는 아케이드 전용 신작 데이토나 챔피언십 USA(Daytona Championship USA, 데이토나 USA 3로도 불림)가 공개되었다. 이는 18년 만에 출시된 데이토나 브랜드의 아케이드 게임이었다.[46] 초대작을 기반으로 한 리마스터 버전으로, 초대작 리메이크 코스 3개와 신규 코스 3개(실제 데이토나 인터내셔널 스피드웨이 포함) 등 총 6개의 코스가 수록되었다. 2017년부터 해외에서 가동되었으나[123], 2020년 12월 기준으로 일본 내에서는 출시되지 않았다.[124]
4. 1. 아케이드 캐비닛
세가의 1994년 레이싱 게임 데이토나 USA는 당시 혁신적인 기술을 적용한 아케이드 캐비닛으로 큰 인기를 끌었다. 이 캐비닛은 이후 세가의 여러 레이싱 게임에서도 기본 틀로 활용되었다. 주요 특징
스티어링 휠: 포스 피드백 기능이 탑재되어 플레이어가 노면 상태나 다른 차량과의 충돌 시 발생하는 진동과 충격을 느낄 수 있었다.[2]
시프터: 실제 차량과 유사한 4단 H형 시프터가 장착되었다.[4] 초기에는 알루미늄 절삭 가공으로 제작되었으나, 플레이 빈도가 높아 그립부가 쉽게 산화되는 문제가 있어 후속작인 세가 랠리부터는 크롬 도금 처리된 부품으로 변경되었다. 또한 내부 부품의 내구성과 방수 처리도 개선되었다.[105]
페달: 브레이크 페달에는 고무관을 이용해 실제 브레이크를 밟는 듯한 저항감을 구현했다. 클러치 페달은 생략되고 대신 풋 레스트가 설치되었다.
사운드: 사운드 기판은 메인 기판과 분리되어 별도의 케이스 외부에 장착되었다. 이는 Model2 기판 초기 설계의 특징 중 하나였다.
좌석: 좌석은 앞뒤로 기울일 수 있었으며, 좌면에는 우퍼 스피커가 내장되어 게임의 몰입감을 높였다.
캐비닛 종류데이토나 USA는 크게 DX(디럭스), SD(스탠다드), VS(대전형) 세 가지 타입의 캐비닛으로 출시되었다.
DX 캐비닛: 실제 레이싱 카를 본뜬 대형 캐비닛으로, 50인치 대형 리어 프로젝션 모니터(세가의 '슈퍼 메가로 50' 캐비닛 유용)를 사용했다.[106] 이전 작품인 버추어 레이싱 캐비닛의 유지보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횡 G(중력 가속도)를 표현하는 에어백 같은 가동 부품은 제외했다. 메인 기판은 좌석 뒤쪽의 박스에 수납되었으며, 스티어링 휠의 포스 피드백 메커니즘은 SD 캐비닛과 다른 방식을 사용했다. 초기 DX 캐비닛은 통신 기능이 지원되지 않았다. 특히 연결된 디럭스 캐비닛에는 운전석을 향한 카메라가 포함되어 있어 폐쇄 회로 텔레비전에 연결되어 별도의 화면에서 플레이어를 보여주는 기능도 있었다.[9] 이 캐비닛 형태는 후속작인 데이토나 USA 2까지 이어졌다.[106]
SD 캐비닛: 기존의 목재 합판 대신 수지(플라스틱) 부품과 금속 프레스를 주로 사용하여 제작되었다. 이로 인해 무게가 가벼워지고 기능성이 향상되었으며, 내구성과 유지보수 편의성도 개선되었다.
VS 대전 캐비닛: SD 캐비닛 2대를 연결한 형태로, 통신 대전을 위한 모델이다. 데이지 체인 방식으로 최대 4대의 VS 캐비닛(총 8개의 SD 캐비닛)을 광섬유 케이블로 연결하여 최대 8명까지 동시에 플레이할 수 있었다. 각 캐비닛은 통신 보드를 통해 연결되며, 전원 투입 시 통신 지연이 발생하면 오류가 표시될 수 있었다. 한쪽 캐비닛이 고장 등으로 작동하지 않을 경우, DX 캐비닛용 설정을 사용하여 단독으로 운영할 수도 있었다. 모니터는 곡면 브라운관을 사용했으며, Model2 기판을 사용하는 데이토나 USA는 24kHz 주사율을 지원했다(이후 Model3 게임들은 31kHz 지원). 모니터 옆 스피커 그릴은 초기에는 금속 메쉬였으나, 버추어 온 출시 이후 플라스틱 메쉬 형태로 변경되었다. 캐비닛 측면 커버와 시트 뒷면 색상은 게임마다 달랐으며, 상단 간판(빌보드) 디자인과 좌석 틸트 기능 유무 등도 후속 게임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메인 기판은 좌석 아래쪽 박스에 2중 잠금장치로 보호되어 수납되었다.
라이브 모니터버추어 레이싱과 마찬가지로 통신 대전 시 게임 상황을 중계하는 라이브 모니터 시스템이 지원되었다. 라이브 모니터 역시 독립된 메인 기판을 가진 하나의 통신 단말로 취급되었기 때문에, 라이브 모니터를 사용할 경우 최대 플레이 인원은 7명으로 제한되었다. 데이토나 USA 2 캐비닛1998년에 출시된 후속작 데이토나 USA 2는 Model3 기판을 사용했으며, 캐비닛에도 새로운 기능이 추가되었다. 대형 캐비닛에는 충돌 시 진동과 충격을 전달하는 "크래시 임팩트 제네레이터"가 탑재되어 더욱 박진감 넘치는 플레이 경험을 제공했다.[112] 또한 기존의 4가지 시점 외에 운전석 시점이 새롭게 추가되었다.[112] 이론적으로 최대 16대까지 통신 대전이 가능했지만, 실제 16인 플레이가 구현된 사례는 매우 드물었다.[111]
4. 2. 세가 새턴판
1995년4월 1일세가 새턴으로 처음 이식되었다. 아케이드판 Model 2 기판과의 성능 차이로 인해 폴리곤 표시 수가 줄고, 텍스처가 거칠어졌으며, 프레임률은 원작의 60프레임의 3분의 1 수준인 초당 20프레임으로 감소했다. 연산 속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플레이어 근처의 배경만 표시하는 클리핑 기법을 사용했다. 이 때문에 당시 경쟁 기종이었던 소니 컴퓨터 엔터테인먼트의 플레이스테이션으로 이식된 릿지 레이서와 비교해 이식 수준이 떨어진다는 평가를 평론가와 이용자들로부터 받았다. 이러한 질적 저하는 세가가 발매일에 맞추기 위해 개발을 서두른 것이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되며, 이후 발매된 서킷 에디션의 품질이 크게 향상된 것을 고려하면 개발 시간이 충분했다면 아케이드판에 더 가깝게 이식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그럼에도 일부 게이머 커뮤니티에서는 기술적으로 더 뛰어난 이식작이었던 릿지 레이서보다 데이토나 USA를 더 선호하기도 했다.
세가 새턴판에는 독자적인 요소로 미츠요시 타케노부가 부른 곡이 추가되었고, 새로운 차종과 숨겨진 요소들이 포함되었다. 게임 모드는 '아케이드 모드'와 '새턴 모드' 두 가지가 있었다. 새턴 모드에서는 시간 제한이 없었고, 성능이 더 높은 차량을 사용할 수 있었다.[107] 컨트롤러는 아케이드 레이서 스티어링 휠과 3D 아날로그 컨트롤 패드를 지원했으며, 새턴은 3D 패드를 스티어링 휠로 인식했다. 컨트롤러 버튼 배치는 3가지 설정 중 선택하거나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었다.[108] 숨겨진 요소로는 통신 대전 아케이드 버전의 차량(고유 번호 41번)과 배경 캐릭터로 등장하는 말을 직접 운전하는 것('데이토나 UMA')이 가능했다. 이는 당시 지방경마 소속 경주마 슈퍼 오토메가 마방을 탈출해 고속도로를 질주한 실제 사건과 맞물려 화제가 되기도 했다.
세가 새턴 버전은 대체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지만, 그래픽 문제에 대한 비판이 많았다.[2] ''Maximum''은 도전적인 코스 디자인과 공기 저항 효과 등 현실적인 게임 메커니즘을 칭찬했지만, 낮은 해상도의 텍스처, 클리핑, 멀티플레이어 부재를 지적했다.[79] ''EGM''의 평론가들은 북미판이 일본판보다 개선되었음을 인정하면서도 프레임 속도와 애니메이션 문제를 언급했다.[80] 반면 ''세가 새턴 매거진''은 팝업 현상을 제외하면 그래픽이 인상적이고 아케이드 스타일의 게임 플레이가 강력하다고 평가했고,[81] ''넥스트 제너레이션''은 단점이 많지만 빠르고 스릴 넘치는 레이싱 경험을 제공한다고 결론지었다.[82] 일부 평론가들은 플레이스테이션으로 이식된 릿지 레이서와 비교했다. ''컴퓨터 앤 비디오 게임''은 ''데이토나 USA''가 ''릿지 레이서''보다 게임 플레이 측면에서 더 낫다고 평가했다.[51] 반면 ''GamePro''는 ''데이토나 USA''의 강렬한 게임 플레이와 그래픽을 칭찬하면서도 기능, 게임 플레이, 그래픽 면에서 ''릿지 레이서''에 미치지 못한다고 평했다.[83]
1996년에는 수정 및 확장판인 ''데이토나 USA: 챔피언십 서킷 에디션''(Daytona USA: Championship Circuit Editioneng)이 세가 새턴으로 출시되었다.[39] 이 버전은 세가의 소비자 소프트웨어 부서에서 개발했으며,[2] 세가 랠리 챔피언십에 사용된 엔진을 개량한 게임 엔진을 사용했다.[40]1997년1월 24일 발매되었으며, 인터레이스 렌더링을 통해 프레임 수를 개선하고, 논 인터레이스 시 폴리곤의 거친 부분을 구로 셰이딩[110]으로 처리하는 등 그래픽 품질을 향상시켰다. X-Band를 통한 통신 대전 모드 등 오리지널 요소가 추가되었고, 레이싱 컨트롤러와 멀티 컨트롤러를 지원했다. 숨겨진 차량으로는 초대 호넷 차량과 말이 다시 등장했다.
4. 3. Windows판
1996년12월 6일에 발매된 Windows 버전은 1995년에 나온 세가 새턴판을 기반으로 이식되었다.[109] 하지만 프레임률은 원작 아케이드 버전의 초당 60프레임에 훨씬 못 미치는 초당 20프레임으로 크게 저하되었고, 연산 부담을 줄이기 위해 플레이어 주변의 배경만 표시하는 클리핑 기법이 사용되었다. 이 때문에 당시 경쟁 기종이었던 소니 컴퓨터 엔터테인먼트의 플레이스테이션으로 발매된 릿지 레이서와 비교했을 때 이식 수준이 떨어진다는 평가를 받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게이머들 사이에서는 기술적으로 더 뛰어난 이식도를 보인 릿지 레이서보다 데이토나 USA를 더 선호하는 경향이 있었다. Windows판의 낮은 완성도는 당시 세가가 발매일을 맞추기 위해 개발을 서둘렀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있으며, 이후 발매된 서킷 에디션의 품질이 크게 향상된 점을 고려하면 충분한 개발 시간이 주어졌다면 더 나은 이식이 가능했을 것으로 보인다.
Windows판은 아케이드 레이싱 휠 컨트롤러를 지원했으며, 세가 새턴의 3D 아날로그 컨트롤 패드를 연결하면 이를 스티어링 휠로 인식하여 플레이할 수도 있었다. 배경 음악(BGM)은 CD-DA 형식을 사용했으며, 아케이드판과 동일한 곡이지만 편곡은 다소 다르게 이루어졌다.
1997년11월 21일에는 세가 새턴으로 먼저 발매되었던 『서킷 에디션』을 기반으로 한 Windows판도 출시되었다. 이 버전에는 오리지널 코스가 추가되었다.
4. 4. 데이토나 USA 2001 (드림캐스트)
2000년12월 21일에 드림캐스트용으로 발매된 데이토나 USA와 챔피언십 서킷 에디션의 리메이크 작품이다.[45] 개발은 겐키가 담당했다. 아케이드판을 기반으로 그래픽 개선, 온라인 멀티플레이어, 새로운 코스 등 여러 요소가 추가되었다.[45]
조작성은 이전 작품들과 비교해 상당히 미끄러워지는 등 크게 변경되었다. 타이어 종류를 선택하거나, 출전 차량 수를 변경하는 등의 새로운 요소도 도입되었다. 전작들의 코스에 더해 새로운 코스가 추가되었으며, 데이토나 시리즈의 모든 코스(총 16개)를 완주하여 월드 챔피언을 목표로 하는 "챔피언십 모드"가 새롭게 포함되었다. 인터넷을 통해 최대 4명까지 동시에 플레이할 수 있는 통신 대전 기능[114]과 자신의 주행 데이터를 업로드하는 기능도 지원했다.
한편, 세가는 이 게임 발매 전에 '데이토나' 명칭 사용 권리를 미국 하스브로에 매각했기 때문에, 권리 표기에 하스브로의 소규모 자회사인 Hasbro Interactive가 표기되어 있다.
기술적인 특징으로는 피트인 시 타이어 교체 작업이 한쪽당 2개씩만 이루어지는 점이 있는데, 이것이 제작진의 실수인지 의도적인 연출인지는 불분명하다. 아케이드판과 세가 새턴판에서는 4개의 타이어가 모두 교체된다.
또한, 이 작품은 시리즈 중 유일하게 단독으로 사운드트랙이 발매되지 않았다. 게임 음원은 2009년에 발매된 역대 시리즈 음원을 모은 컴필레이션 앨범 '''LET'S GO AWAY THE VIDEO GAME DAYTONA USA ANNIVERSARY BOX'''에 수록되었다.
=== 차종 ===
처음에는 4종의 차종을 선택할 수 있으며, 특정 조건을 만족하면 추가로 6종의 차종이 해제된다[115]. 모든 차량은 RGB 방식으로 3가지 종류까지 직접 색상을 설정할 수 있다.
차종
성능
비고
호넷
가속 보통, 최고 속도 보통, 핸들링 보통
플레이어 전용
라이트닝
가속 최고, 최고 속도 최고, 핸들링 최저
플레이어, CPU
팔콘
가속 보통, 최고 속도 보통, 핸들링 높음
플레이어, CPU
글라스호퍼
가속 낮음, 최고 속도 낮음, 핸들링 최고
플레이어, CPU
=== 코스 ===
"챔피언십 서킷 에디션"에 등장했던 5개 코스에 드림캐스트 버전 오리지널 3개 코스[116]를 더해 총 8개의 코스를 주행할 수 있다. 이전 작품에서는 숨겨진 모드로 취급되었던 코스 설정 변경이 처음부터 가능해졌다[117]. 주행 방식은 NORMAL(순방향), REVERSE(역방향), MIRROR(순방향, 코스 좌우 반전), MIRROR REVERSE(역방향, 코스 좌우 반전)의 4가지 유형을 선택할 수 있다. 이 중 역방향 주행을 선택하면 BGM이 순방향 주행 시와 다른 편곡 버전으로 재생된다(원곡 자체는 동일).
또한, L 트리거와 R 트리거를 누른 상태로 "START"를 선택하고, "LADIES AND GENTLEMEN START YOUR ENGINES" 화면이 끝날 때까지 누르고 있으면 코스의 시간대를 변경할 수 있다(기본 시간대가 '낮'이면 '저녁'으로, '저녁'이면 '낮'으로 변경 가능).
각 코스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118].
코스명
특징
BGM
쓰리세븐 스피드웨이
유일하게 롤링 스타트 방식 적용
The King Of Speed (재수록)
다이노소어 캐니언
깊은 계곡을 통과하는 공도 코스. 업다운이 심하고 헤어핀 코너가 많은 미들 코스[117]
Let's Go Away (재수록)
씨사이드 스트리트 갤럭시
스타라이트 브릿지에서 시작하여 오리온 페이의 관광 명소를 도는 롱 코스. 복합 코너가 많음[117]
Sky High (재수록)
데저트 시티
세가 새턴판 "서킷 에디션"에서 가장 인기 있었던 코스. 데저트 시티 주변 도로를 개조하여 만듦[117]
Desert Grit
내셔널 파크 스피드웨이
(특징 설명 없음)
Holiday in the Park
서킷 픽시☆
요정이 살았다고 전해지는 숲을 개척하여 만든 코스. 직선과 고속 코너로 구성된 하이스피드 코스
SPEED FRIEND
린 린 링크☆
습지에 만들어진 코스. 세밀한 코너 구간 이후의 직선 주로에서 최고 속도를 내는 것이 중요[117]
Greatfall in the Sky
머메이드 레이크☆
8자 형태의 레이아웃. "인어의 달"이라 불리는 급격한 뱅크 커브와 최종 코너 직전의 직각 커브가 승부처
DON'T LOOK BACK
☆ 표시는 드림캐스트 버전 오리지널 코스
4. 5. 데이토나 USA (PS3/Xbox 360)
2011년 10월 26일, 『데이토나 USA 2001』 이후 약 11년 만에 가정용으로 이식된 HD 리메이크판이 PS3 및 엑스박스 360용 다운로드 버전 한정으로 발매되었다.[103][49] (일부 자료에서는 2013년 7월 13일 출시로 언급되기도 한다.) 이 버전은 SEGA MODEL2 아케이드 기판 원작의 그래픽을 충실히 재현하며 가정용 게임기로 이식된 첫 사례이다. CERO 레이팅은 A(전 연령 대상)이다.
이 버전은 1080p 해상도와 16:9 와이드스크린 화면비를 지원하며, 레이싱 휠 컨트롤러 사용도 가능하다. 게임 내용은 2009년 일본 내 게임 센터에서 로케이션 테스트를 거쳐 2010년 구미 지역에 출시된 아케이드 HD 리메이크작인 '''SEGA RACING CLASSIC'''을 기반으로 한다.[119] 'SEGA RACING CLASSIC'은 링와이드 아케이드 기판을 사용했으며, 당시 라이선스 문제로 '데이토나'라는 명칭을 사용하지 못하고 일부 코스와 BGM 가사가 삭제되었다.[120] 하지만 PS3/Xbox 360 버전은 '데이토나 USA'라는 원래 이름으로 발매되었으며, 미츠요시 타케노부의 보컬이 포함된 오리지널 아케이드 사운드트랙과 'SEGA RACING CLASSIC'의 편곡된 기악 사운드트랙을 모두 포함한다.[49]
PS3 및 Xbox 360 버전에는 원작에는 없던 새로운 모드들이 추가되었다. 가라오케 모드, 제한 시간 내 완주 기록을 겨루는 서바이벌 모드, 다양한 과제에 도전하는 챌린지 모드가 포함되었다.[121] 또한, 플레이스테이션 네트워크 및 엑스박스 라이브를 통해 온라인 랭킹 경쟁과 최대 8인까지 참여 가능한 통신 대전을 지원한다. 단, 온라인 대전 시에는 차량의 색상과 번호가 통신 대전형 아케이드 버전의 사양으로 변경된다.
Xbox 360 버전은 이후 Xbox One 및 Xbox Series X/S에서의 하위 호환을 지원하게 되었다.[43] 하지만 2023년 2월 7일을 기점으로 Xbox 360용 스토어에서의 배포 및 판매는 종료되었다.[122]
[1]
웹사이트
SEGA ENTERTAINMENT ACCELERATES PC POWER WITH ALL-TIME ARCADE HIT DAYTONA USA
https://www.sega.com[...]
Sega of America
1996-11-06
[2]
간행물
The Making of Daytona USA
2018-08
[3]
웹사이트
Daytona USA: why the best arcade racing game ever just won't go away
https://www.theguard[...]
2020-12-09
[4]
간행물
テイ トナ USA
https://archive.org/[...]
2023-06-07
[5]
간행물
CVG Work-In-Progress: Daytona USA
1994-05
[6]
간행물
Arcade Action: Daytona USA
https://archive.org/[...]
1994-06
[7]
간행물
Player's Perspective: Simulators and scary creatures in videoland
https://archive.org/[...]
1994-10
[8]
웹사이트
Daytona USA – Overview
http://www.allgame.c[...]
2014-11-14
[9]
서적
The Sega Arcade Revolution: A History in 62 Games
McFarland & Company
[10]
웹사이트
Interview: A Daytona USA Audio Reunion
https://www.gamasutr[...]
2020-10-10
[11]
간행물
Game Machine's Best Hit Games 25 - アップライト, コックピット型TVゲーム機 (Upright/Cockpit Videos)
null
1993-12-01
[12]
간행물
Equipment Poll - Video & Pinball Combined
https://archive.org/[...]
null
1994-02
[13]
간행물
Arcade Action
null
null
1994-04
[14]
간행물
New wave graphics dominate AMS '93
null
1993-11
[15]
간행물
Prescreen
null
1994-03
[16]
Youtube
Daytona USA Dev Diary
https://www.youtube.[...]
Sega
2011-12-19
[17]
간행물
Yu Suzuki: Sega's driving force
1994-06
[18]
간행물
Prescreen: Daytona
1994-04
[19]
웹사이트
'Daytona USA' Was Built on Lockheed Martin Defense Technology
https://jalopnik.com[...]
2023-06-07
[20]
웹사이트
Daytona USA Anniversary Box -Let's Go Away-
http://www.vgmonline[...]
2020-12-16
[21]
웹사이트
A Brief History of Daytona
https://www.ign.com/[...]
2023-07-08
[22]
간행물
Daytona USA
1993-10
[23]
간행물
Once Again, JAMMA Says "Bigger is Better"
null
1993-10
[24]
서적
Sega Arcade History
Enterbrain
[25]
간행물
ACME '94
https://archive.org/[...]
1994-04
[26]
간행물
News Digest / ACME 94
null
1994-04
[27]
간행물
Driving Force
Ziff Davis
1996-12
[28]
서적
The Ultimate History of Video Games: The Story Behind the Craze that Touched our Lives and Changed the World
Prima Publishing
[29]
간행물
The Creation of Daytona, and the Future Projects of AM2
Sendai Publishing
1995-05
[30]
간행물
Virtua Fighter: The Second Coming
null
1995-11
[31]
간행물
Virtua Fighter 2 Development Diary
null
1995-12
[32]
간행물
1995: The Calm Before the Storm?
null
1996-01
[33]
간행물
Sega Hopes to Run Rings Around the Competition with Early Release of the Saturn
null
1995-07
[34]
웹사이트
Sega's bringing Daytona back to arcades
https://www.polygon.[...]
null
2019-09-04
[35]
간행물
Release List
1996-10
[36]
웹사이트
Sega PC: Daytona USA
http://sega.jp/pc/da[...]
Sega
2023-03-04
[37]
웹사이트
Sega PC: Daytona USA Expansion Board Version
http://sega.jp/pc/da[...]
Sega
2023-03-04
[38]
간행물
Events and Software Releases
1996-11-01
[39]
간행물
In the Studio
1996-10-01
[40]
간행물
Daytona USA: Championship Circuit Edition
1996-10-01
[41]
웹사이트
Sega Racing Classic
http://www.segaarcad[...]
Sega
2019-09-04
[42]
웹사이트
Daytona HD Confirmed
https://www.ign.com/[...]
2023-07-11
[43]
웹사이트
Daytona USA is coming to Xbox One today
http://www.eurogamer[...]
2017-03-21
[44]
간행물
Finals
1998-09-01
[45]
웹사이트
Daytona USA 2001
http://www.ign.com/a[...]
2014-06-26
[46]
웹사이트
Sega gives us our first look at Daytona 3
https://www.polygon.[...]
2019-09-04
[47]
웹사이트
Daytona USA for Xbox 360 Reviews
https://www.metacrit[...]
2020-12-17
[48]
웹사이트
Daytona USA for PlayStation 3 Reviews
https://www.metacrit[...]
2020-12-17
[49]
웹사이트
Review: Daytona USA is a Faithful, Yet Content-light Arcade Port
http://www.1up.com/r[...]
2011-10-26
[50]
간행물
Arcade Action: Daytona USA
1994-08-15
[51]
간행물
Daytona USA
1995-05-01
[52]
간행물
Testscreen: Daytona USA
[53]
간행물
NEW GAMES CROSS REVIEW: ディトナUSA.
1995-04-07
[54]
간행물
Legacy Review Archives
https://www.gameinfo[...]
2021-10-03
[55]
간행물
Daytona USA
1995-07-01
[56]
간행물
Daytona USA
Future plc
1995-06-01
[57]
간행물
Daytona USA
Future Publishing
2012-01-01
[58]
간행물
Daytona USA
2011-12-01
[59]
간행물
Daytonna USA
Média Système Édition
[60]
간행물
Daytona Racing
https://archive.org/[...]
1994-07-01
[61]
간행물
Daytona USA
1995-09-01
[62]
간행물
IG Reviews: Daytona USA
1996-11-01
[63]
간행물
Saturn Round-Up
[64]
간행물
Daytonna USA
1997-02-21
[65]
간행물
AOU
https://archive.org/[...]
2023-06-07
[66]
간행물
Die Hits de Leser
1996-02-14
[67]
간행물
Daytona USA
[68]
간행물
VideoGames Best of '94
https://archive.org/[...]
1995-02-01
[69]
간행물
AMOA Jukebox And Game Awards Nominees Announced
https://worldradiohi[...]
1994-07-23
[70]
간행물
Coin Machine: AMOA JB And Games Awards Nominees Announced
https://worldradiohi[...]
1995-07-22
[71]
간행물
第8回 ゲーメスト大賞
1995-01
[72]
간행물
"Virtua Fighter 2" and "Virtua Cop" Top Videos
https://onitama.tv/g[...]
アミューズメント通信社
1996-02-01
[73]
간행물
1994
https://archive.org/[...]
1994-12
[74]
간행물
ACME Awards
1995-04
[75]
간행물
And the Winner Is...
https://archive.org/[...]
Imagine Media
1996-05
[76]
간행물
Charts
1994-08
[77]
간행물
Hot at the Arcades
https://archive.org/[...]
2021-01-04
[78]
간행물
Daytona USA
https://ew.com/artic[...]
2019-09-04
[79]
간행물
Daytona USA
1995-10
[80]
간행물
Team EGM: Daytona (Saturn) by Sega
1995-07
[81]
간행물
Review: Daytona USA
1995-11
[82]
간행물
Finals
1995-07
[83]
간행물
ProReview: Daytona USA
https://archive.org/[...]
International Data Group
1995-08
[84]
간행물
Top 100 Games of All Time
https://archive.org/[...]
2015-09-13
[85]
간행물
Top 100 Games of All Time
1996-07
[86]
간행물
Top Games
2000-01
[87]
간행물
Best Games of All Time
1997-11
[88]
간행물
Top 100 Games of All Time
http://www.gamers.co[...]
2017-04-12
[89]
웹사이트
The 100 greatest computer games of all time
http://uk.videogames[...]
2017-04-12
[90]
웹사이트
The 100 Greatest Games
http://www.empireonl[...]
2017-04-12
[91]
간행물
The 10 Best Arcade Games of All Time
1997-11
[92]
웹사이트
The Top Coin-Operated Videogames of All Time – The International Arcade Museum
http://www.arcade-mu[...]
2015-09-13
[93]
웹사이트
100 Greatest Retro Games
http://www.nowgamer.[...]
2019-09-05
[94]
간행물
The Greatest 200 Videogames of Their Time
http://www.1up.com/f[...]
2013-11-19
[95]
간행물
The 100 Best Games To Play Today
http://www.edge-onli[...]
2014-01-21
[96]
웹사이트
The Top 10 Most Influential Racing Games Ever
http://ign.com/artic[...]
2019-09-04
[97]
웹사이트
Daytona USA review
https://www.gamesrad[...]
2023-06-07
[98]
웹사이트
Daytona USA Review
https://www.eurogame[...]
2019-09-04
[99]
웹사이트
セガのデイトナUSAが何故か復活、アーケード限定の DAYTONA 3 Championship USA 公開 - Engadget Japanese
https://japanese.eng[...]
2020-05-24
[100]
문서
これはバンダイナムコアミューズメント|ナムコの『リッジレーサー』に衝撃を受けたセガの首脳陣が、「リッジレーサーを超えるものを作れ」という指示を出したことに対する一策であった。この歌入りBGMはナムコのサウンドチーム内で物議をかもすほどの衝撃であったという。CBCラジオ「電磁マシマシ」2013年4月27日放送
[101]
문서
初めは画面中央に逆走表示が出ているが、しばらくすると「逆走だぁ~!」の声と共に右下に移動し前が見やすくなる。その後「逆走してるって言ってるだろ!」と声が掛かり、再び今度は更に大きな声で「逆走してるって言ってるだろ!!」と聞こえた後、何も言ってこなくなる。
[102]
문서
バリエーションが数種類あり、数珠繋ぎで上から落ちてきて中央で1バウンドし、同じ軌道上流れるように落ちていくものや、尺取虫の如く連なって去っていくもの、ペースカーが先導し末広がりに後をついていくものなどがあり、コインを入れないでスタートボタンを押すと動きが高速化する。
[103]
웹사이트
DAYTONA USA
2020-05-24
[104]
문서
巨大スロットはゲーム中・デモ中問わず回転し、1リールごとのストップができるようになっている。
[105]
문서
サービスマニュアルパーツカタログ品番参考。
[106]
문서
インディ500 (アーケードゲーム)
[107]
서적
週刊ファミコン通信 no.331
株式会社アスキー
1995-04-21
[108]
서적
週刊ファミコン通信 no.331
株式会社アスキー
1995-04-21
[109]
웹사이트
セガが、PC用の「デイトナUSA」を8月発売
https://pc.watch.imp[...]
2020-05-24
[110]
문서
[111]
문서
[112]
서적
電撃王 通巻79号
メディアワークス
1998-08-01
[113]
문서
[114]
서적
ファミ通
エンターブレイン
2001-01-05
[115]
문서
[116]
문서
[117]
서적
電撃王 通巻116号
メディアワークス
2000-12-01
[118]
웹사이트
デイトナUSA2001
http://backup.segako[...]
AMUSEMENT VISION
2021-04-04
[119]
뉴스
デイトナUSAがアーケード用にHDリメイク!『Sega Racing Classic』の情報が公開
https://www.gamespar[...]
Game Spark
2021-04-04
[120]
뉴스
セガのデイトナUSAが何故か復活、アーケード限定の DAYTONA 3 Championship USA 公開
https://japanese.eng[...]
engadget 日本版
2021-04-04
[121]
웹사이트
セガ、PS3/XBLA「DAYTONA USA」を10月26日に配信 SS版にあったあのモードなど家庭用オリジナルモードも搭載
https://game.watch.i[...]
株式会社インプレス
2020-05-24
[122]
웹사이트
Xbox 360ストアで一部タイトルが販売終了へ―買えなくなる『ジェットセットラジオ』『デイトナUSA』などに要注意
https://www.gamespar[...]
株式会社イード
2023-02-01
[123]
Youtube
Daytona Championship USA Officially Released To Arcades
https://arcadeheroes[...] [124]
Youtube
デイト~ナ~♪ セガの「デイトナUSA」、あの陽気な曲とともに海外で復活!
https://nlab.itmedia[...]
ITmedia・ねとらぼ(アイティメディア株式会社)
2016-11-18
[125]
Youtube
"@maimai_official 2018年7月10日 午後0:05(日本時間)のツイート"
https://twitter.com/[...]
2020-12-07
[126]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1up.com/r[...]
2012-03-20
[127]
웹인용
Daytona USA - Overview - allgame
http://www.allgame.c[...]
2014-11-14
[128]
웹인용
Daytona USA - Review - allgame
http://www.allgame.c[...]
2014-11-14
[129]
웹인용
Daytona USA - Review - allgame
http://www.allgame.c[...]
2014-11-14
[130]
문서
[131]
문서
[132]
문서
[133]
간행물
Team EGM: Daytona (Saturn) by Sega
지프 데이비스
1995-07
[134]
문서
Daytona USA Review.
http://www.eurogamer[...]
2011-10-26
[135]
문서
ディトナUSA
1995-04-07
[136]
문서
デイトナUSA
1995-06-30
[137]
문서
ディトナUSA
1995-07-07
[138]
문서
[139]
간행물
ProReview: Daytona USA
International Data Group
1995-08
[140]
문서
[141]
웹사이트
Daytona USA Review.
http://www.gamesrada[...]
2011-11-16
[142]
간행물
Playstation Official Magazine UK
2012-01
[143]
간행물
Xbox 360: The Official Xbox Magazine
published 31 October 2011
2011-12
[144]
간행물
Games World
[145]
저널
Daytona USA
Emap International Limited
1995-10
[146]
웹인용
MeanMachinesSega35UK scan
http://segaretro.org[...]
2017-08-20
[147]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download.aban[...]
2017-08-20
[148]
간행물
Player One
[149]
간행물
Sega Pro
[150]
저널
Review: Daytona USA
Emap International Limited
1995-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